(이슈클립) ‘외모지상주의’ 관련 이슈, 기사 모아 보기

wiki_img

외모지상주의 위키피디아 검색결과

루키즘(영어: Lookism)은 외모로 사람을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외모지상주의(外貌至上主義)라고 번역하기도 한다.1970년대 미국 언론에서 처음 쓰기 시작해 미국 《뉴욕 타임스》의 칼럼니스트인 새파이어(William Safire)가 2000년 8월 인종·성별·종교·이념 등에 이어 새롭게 등장한 차별 요소로 지목하면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까지 등재된 ‘루키즘(Lookism)’은 외모가 개인 간 우열과 인생의 성패를 가르는 기준이라고 믿으며 집착하는 외모지상주의 내지는 외모차별주의를 말한다. 곧 외모가 연애·결혼 등과 같은 사생활은 물론, 취업·승진 등 사회 생활 전반까지 좌우하기 때문에 외모를 가꾸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는 것이다.한국에서도 2000년 이후 루키즘이 사회 문제로 등장하였는데,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지가 UN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한국은 인구 대비 성형수술을 가장 많이 한 나라이며, 1000명당 16명 정도가 수술을 했고, 서울 여성의 5분의 1이 성형을 했다고 한다. 또한 다이어트 열풍에 휩쓸려 무리하게 살을 빼다가 죽음에 이른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1] 2015년에는 여의도연구원에서 2014년 10월 2일부터 20일까지 전국 4년제 대학교 68개교 재학생 5,617명(남학생 3,403명 여학생 2,214명)을 상대로 설문을 한 결과 취업을 위해 성형수술을 받을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여학생의 21.4%가, 남학생은 6.8%가 ‘있다’고 답하였다.[2]

위키백과 전체보기

wordcloud news_img

외모지상주의 뉴스속보 검색결과